Working languages:
Korean to English
English to Korean

Mayyul Cho
Immigration/Literature/Education/Culture

Hawaiian Gardens, California, United States
Local time: 01:22 PDT (GMT-7)

Native in: Korean 
Feedback from
clients and colleagues

on Willingness to Work Again info
No feedback collected
  Display standardized information
Account type Freelance translator and/or interpreter
Data security Created by Evelio Clavel-Rosales This person has a SecurePRO™ card. Because this person is not a ProZ.com Plus subscriber, to view his or her SecurePRO™ card you must be a ProZ.com Business member or Plus subscriber.
Affiliations This person is not affiliated with any business or Blue Board record at ProZ.com.
Services Translation, Subtitling, Transcription, Transcreation, Editing/proofreading, Native speaker conversation, Interpreting
Expertise
Specializes in:
Poetry & LiteratureMusic
Medical: Health CareMedical (general)
Law (general)Cinema, Film, TV, Drama
Art, Arts & Crafts, PaintingCooking / Culinary
Education / Pedagogy

Volunteer / Pro-bono work Open to considering volunteer work for registered non-profit organizations
Rates
Korean to English - Standard rate: 0.15 USD per character / 38 USD per hour / 15.00 USD per audio/video minute
English to Korean - Standard rate: 0.15 USD per word / 35 USD per hour / 10.00 USD per audio/video minute

All accepted currencies U. S. dollars (usd)
KudoZ activity (PRO) PRO-level points: 8, Questions answered: 3
Blue Board entries made by this user  1 entry

Payment methods accepted Check, Veem
Portfolio Sample translations submitted: 6
English to Korean: The Psychedelics: Overview of a Controversial Drug Type 환각제들: 논란이 많은 약종에 대한 개요
General field: Medical
Detailed field: Medical: Pharmaceuticals
Source text - English
The Psychedelics
Overview of a Controversial Drug Type
Rick Strassman, M.D.

Consciousness is a mystery, and the association of consciousness with matter is even more mysterious. How does a particular collection of molecules and energy combine to create awareness? Further, what determines the quality and content of consciousness? These are some of the general questions facing us as conscious beings. I the context of this book, we
address particular questions regarding unusual states of consciousness in which we perceive things that are not normally perceivable.
Consciousness contains an unlimited number of states, several of which humans access in their lives. Wakefulness, deep sleep, meditation, and psychosis are some of these general categories. We may enter these states via built-in biological rhythms, such as the sleep-wake cycle, Perturbations of normal physiology—for example, fever, illness, sleep deprivation, starvation, and fasting—also produce different states
of consciousness. In addition, a variety of natural substances contained in plants as well as certain synthetic drugs affects consciousness.1
Many nonhuman animals consume plants or plant products for their consciousness-altering effects. Examples include fermented fruit-swilling elephants, dazed and confused bees that return repeatedly to wallow in the flowers of psychoactive datura plants, and catnip-intoxicated felines. Some authors suggest that animals possess an innate drive for intoxication.2 We can assume that in the mists of prehistory, early hominids, imitating the animals with which they shared their ecosystem, also partook of plants to enter altered states.
In some of Andrew Weil’s early work, he suggests a specifically human drive to experience altered states of consciousness.3 Some of the methods employed are modifying our biology through environmental or behavioral means, such as sweat lodges, spinning in circles, and prolonged chanting. Another way to experience altered consciousness is by ingesting psychoactive plants.
Throughout the world and at all times, humans have consumed a dizzying array of plants and plant products for their mind-altering effects. We have been drinking wine; chewing coca leaves; smoking opium;
drinking coffee; and chewing, smoking, or snuffing tobacco. Chemical compounds in certain plants are the most proximate causes of these effects. In wine, this compound is ethanol; in coca leaves, it is cocaine; in opium, morphine; in coffee, caffeine; in tobacco, it is nicotine.*


↑s, ↓s, AND ★s

According to nature-based religious traditions, plants possess intelligence. Many modern Westerners who have undergone a deep experience with ayahuasca (a psychedelic botanical brew from the Amazon) can vouch for the apparent presence of a “personality” in this botanical brew with which they communicate under the influence.
While such phenomena strain the credulity of disciples of materialist science, they nevertheless point toward realms of consciousness containing nonhuman intelligence that we may find useful in our struggle to continue existing on Earth.
















*It is appropriate to discuss, although difficult to keep that discussion within scientific confines, why plants produce these psychoactive substances. Even more, what does this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mind-altering plants say about the biological and biochemical matrix in which we and the plants exist on this planet?

Translation - Korean
환각제들
논란이 많은 약종에 대한 개요
릭 스트라스만, M.D.

의식은 신비의 하나이고, 의식을 사물과 연관시키는 것은 더욱 신비롭다. 특정 분자들과 에너지가 어떻게 결합하여 의식을 창조하나? 게다가, 무엇이 의식의 질과 내용을 결정하나? 이런 것들이 의식적인 존재인 우리를 마주하는 질문의 일종이다. 이 책의 내용을 통해서, 우리가 정상적으로 지각하지 못하는 특수 의식 상태에 관한 특정한 문제들을 거론한다.
의식은 무한한 종류의 상태, 그 중 몇 가지는 인간의 삶을 통해 접할 수 있는 상태를 함유하고 있다. 깨어 있음, 숙면, 명상, 그리고 정신증이 이 보편적 종류의 몇 가지이다. 우리가 이런 상태에 기정된, 자고 깨는 것과 같은, 생리적 리듬을 통해 임할 수 있다. 정상적 생체 기능에의 동요—예를 들어, 발열, 질병, 수면 부족, 기아와 절식—또한 의식의 다른 상태를 야기한다. 게다가, 식물에 포함된 천연 물질과 제조된 약물도 의식에 변화를 초래한다.1
인간 외 많은 동물들이 의식 변화의 효과를 위해 식물이나 식품을 섭취한다. 예를 들면, 발효된 과일을 들이키는 코끼리들, 몽롱하게 길 잃은 듯 반복해서 향정신성 다투라 식물의 꽃에 빠져드는 벌들, 개박하에 취한 고양이들이다.어떤 작가들은 동물에게 취하려는 내성적 충동이 있음을 암시 한다. 2 우리는 선사시대 안개 속의 인류의 선조가 생태계를 공유하던 동물들을 모방하며 변화된 상태로 몰입하는 식물을 나누었음을 가정할 수 있다.
앤드류 바일은 초기 저서에서 변화된 상태의 의식을 경험하려는 인간에게 특별한 충동을 암시한다.3 그 방법에는 환경적, 행동적으로 우리의 생태를 변화시키는, 발한 오두막, 원을 그리며 빙빙 도는 것, 단조로운 영창의 지속적인 반복, 등이 포함된다. 다른 방법으로 의식의 변화를 경험하는 것은 향정신성 식물을 섭취하는 것이다.
전세계 모든 역사를 통헤, 인간들은 지각의변화를 위해 수도 없이 많은 식물과 식품을 뵥용해왔다. 우리는 포도주를 마시고, 코코아 잎을 씨보, 마약을 피우고, 커피 마시고, 담배를 씹고, 피우고, 코로 들이쉰다.

특정 식물에 내재한 화학 성분들이 이런 효과들의 가장 밀접한 원인이다. 포도주의 화합물은 에탄올, 코코아 잎에는 코케인, 오피움에는 모르핀, 커피에는 카페인, 담배에는 니코틴이다.*


↑ , ↓, 그리고 ★

자연에 기초한 종교적 전통에 의하면, 식물은 인지력이 있다. 아야와스카 (아마존의 환각성 식물 양조주)의 깊은 경험을 한 많은 현대 서구인들은 이 식물주에 취했을 때 명백히 “인격”의 임재를 경험했음을 보증한다.
이런 현상들이 물질적 과학의 제자들의 신뢰성을 위협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지구에서 생존을 계속하기 위한 우리의 노력에 유용함을 발견할 비인간적 인지력을 포함하는 의식의 영역을 가리킨다.













* 과학적 논의로 유지하기 힘들기는 하지만, 여기서 왜 식물들이 이러한 향정신성 물질을 발산하는지 토론하는 것이 적절하다. 더 나아가, 이 인간과 지각의변화를 가져오는 식묻과의 관계가 우리와 식물들이 존재하는 이 행성에서의 생물적 생화학적 바탕기질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는지?
English to Korean: Counterpoint: A Memoir of Bach and Mourning 대위법 : 바하와 비탄에 관한 회상록
General field: Art/Literary
Detailed field: Music
Source text - English
For beauty is nothing
but the beginning of terror, which we still are just able to endure,
and we are so awed because is serenely disdains
to annihilate us.
Rainer Maria Rilke,
“The First Duino Elegy”,
Translated by Stephen Mitchell





COUNTERPOINT:
A Memoir of Bach and Mourning

PHILIP KENNICOTT

IN THE SUMMER it became clear that chemotherapy would kill my mother before the cancer did. She was making frequent trips to the emergency room, her body was weak, and still she had months to go before concluding the drug trial that was her last, best hope against the disease. She was angry and exhausted, and near despair, and finally she agreed with her doctor and her family that it was time to quit the drugs and reckon with death. But, first
she was allowed to live again: Within a few weeks, the chemicals cleared out of her body and she came back to life. After many bedridden months, she began using her walker and then felt well enough to send away the hospice nurses. She would rise in the mornings and take a seat by the large windows looking onto the hills outside her home, and wait for birds to come to the several feeders she tended there. By early autumn, she and my father left
for one last trip to Arizona, where they had spent their winter, among friends, in the sun, enjoying retirement.
The call came a week before Thanksgiving. The cancer had regrouped, and now it was time for her to return home and finish the dying. My mother begged me to stay away and not waste vacation days on a trip home for a last visit. “I don’t want you to see me like this.” She had a dutiful sense of self-denial, but the request was more theatrical than sincere, and I brushed it off, just as I had all the others since she became ill three years earlier. I found a ticket on the internet and paid extra for the option to change my return date. Scrolling on the sides of the online travel sites were advertisements for Caribbean vacations and cruise packages, images of turquoise water and beautiful, carefree people in swimsuits.
I realized, as I was packing, that when I put these shirts back into the closet, my mother would be dead, and with that strange realization, almost every trivial thing I did took on a sense of tragic finality. Should I pack this sweater, which she once said she liked? It would be the last time she’d see it. I didn’t know how long it would be, days or maybe weeks, but when I returned home a new, unchangeable fact would have been established in my
life, a connection that had existed for as long as I had would be sundered. I didn’t think much about the clothes I was folding, but I knew I had to bring two essential things: a pair of hiking boots, and some music to keep me company, and sane, in the large, empty house where she was dying.
Without much conscious thought, I threw a recording of Bach’s Sonatas and Partitas for Solo Violin into my traveling bag. I had no particular reason to pick this music, though I was mildly interested in the young violinist who was brave enough to record these demanding, dense, and complicated works so young in his career. Perhaps I was drawn to the cover of the seemingly clasped in prayer above the familiar, feminine curves of his
violin. It had also been a long time since I had listened to these works closely and I was probably happy to bring music that I remembered fondly, but vaguely, great works that remained still somewhat unfamiliar. Music that you have lived with for a long time becomes cluttered with memory and association. For this particular journey, I wanted to pack light.
Pound for pound, Bach is also good traveling music. One or two CDs contain more to occupy the mind than hours of lesser stuff, and it is more emotionally efficient than any other music, with no filler or extraneous matter. For some reason I can’t explain, Bach is suited to all my moods, no matter where I am, no matter what mode of life I find myself in, work or
play, thriving, surviving, or wallowing in lassitude. His music delights me on the beach as much as it sustains me in a gray desert landscape at the end of November. I could think of a hundred reasons why, while I was there, I wouldn’t want to play Beethoven, Brahms, or Wagner; but I couldn’t
imagine a single reason why I would resist Bach.
When I arrived, my parents’ house was quiet, and everyone walked on tiptoes and spoke in whispers. The only noise came from the television in my mother’s room, always on, the flickering light clearly a consolation through the night as she passed in and out of consciousness. When she was awake I would sit with her; but much of the time she was lost to the morphine. I never listened to music while I was with her, afraid that I might miss some marker of pain, or signpost of her progress toward death. I tried to tune out the television, droning in the background, and listen to her breathing—“stertorous,” said one of the hospice nurses brightly, as if pointing out a rare flower on a walk through the forest. Reflected on the
wall above my mother’s head, the inanity of the nightly news, the animated weatherman, the frantic banter of the pretty anchorwomen parsing murder, traffic, and parades, was distilled to a dance of blue forms and abstractions. When I looked directly into the wide, flat screen only a few feet away, into this portal to a world that seemed infinitely remote and meaningless, I began to feel untethered from reality.
During the final days, as my mother slid from terrified lucidity into confusion and finally silence, Bach was the only music I could listen to, the only music that didn’t seem trivial, insipid, or irrelevant to life. It did a strange, spatial sort of work, defining an interior world apart from the world of chatter and noise, creating a space in which I could separate myself from intense feelings about my mother and watch the unfolding of her death without the distraction of what we oddly call the “real” world. It kept banal things at bay, while bringing profound things close enough to be felt without being engulfed by
their dread darkness.
When I wasn’t with my mother, or helping out around the house, I listened to the Partita in D minor. The last movement of this five-part work, the great Chaconne, lasts as long as the other four combines, and it became a maze in which I lost myself completely during its quarter-hour span. I returned to it again and again, obsessed with it, sometimes simply hitting the repeat button until after four or five hearings I had to force myself to quit. I listened to it on headphones while walking in the mountains near my parents’ house, and in bed while trying to fall asleep. It came with me as I drove to town to pick up some new prescription or more cans of soda, which we would pour into a bowl and stir with a whisk until it was flat, and easier for my mother to drink. Hearing the Chaconne in the car somehow made the polyphony more intelligible, The eyes, focused on the road, kept other parts of the brain busy, freeing up consciousness to listen more deeply, to sort out individual lines from the thickness of the general texture. And the music became a filter for the physical world, almost as if someone had Photoshopped out the gas stations, burrito joints, and gift shops, leaving only the passing landscape, dun-colored and dry, with leafless cottonwood trees spectral against the slate-gray skies of November.
Once while I was driving on the highway into Albuquerque, the traffic snarled and I
was jolted out of the solipsism of music, I slammed on the brakes and stabbed at the buttons
of the car’s sound system, trying to turn off Bach, but instead I turned on a station playing
mariachi music. When the adrenaline subsided, I laughed, Albuquerque was founded in 1706,
little more than a decade before Bach likely wrote the Partita in D minor. There is a distant
connection between these two things. The Chaconne was based on an early dance form, the
chacona, likely from Latin America, where some speculate that it was named for the castanets
that accompanied it or perhaps the place where it was first discovered. Like the tango some
three centuries later, the chacona was associated with the lower classes, with vulgarity and
licentiousness and untrammeled physicality.
By the time Bach wrote his Chaconne, the dance form was fully domesticated, and the
name implied a musical form as well as a rhythmic pattern or dance style. A chaconne, in
Bach’s day, implied a repeated bass line over which the composer spun out variations, a
fusion of an often ponderous id́ée fixe in the lower register with virtuosic elaboration above.
But, even in Bach’s enormous, complex, and abstract Chaconne, there is still perhaps an echo
of the old chacona- a rhythmic pattern in three beats, with a distinctive snap of long and short notes—heard in the opening bars. He doesn’t sustain it explicitly throughout the piece, but he states it clearly and unequivocally at the same time that he announces the bass line
pattern on which the entire edifice will be built. Not every violinist stresses this vestigial,
dance-like character of the music, especially the violinists from the early to mid-twentieth
century who played it with operatic pomposity. But the best performances, even the most
epic, are animated by a memory of the dance rhythms, ingrained, even unconscious, but
palpable like a heartbeat.
It’s easy to read too much, and too little, into Bach. We always seem to get our
measure wrong, anachronistically fetishizing things that would have been of little
interest to his eighteenth century listeners, while slighting what Bach would have
considered essential. I have been trained, like most critics, to be intellectually skeptical
about the connections between art and the artist’s emotional life, especially composers such
as Bach, who wrote music of endless emotional variety, every day, every week of his
extraordinarily productive life, without regard to his own joy or suffering, and in service of an
ideal of religious duty that allowed little room for what we now call self-expression. And yet
as Bach’s Chaconne took over my emotional life, it gathered irresistible metaphorical force.
The music suggested two aspects of life, something essential, immutable, and ever
repeated, and something above that grounded truth, a need for variety, elaboration, fleeting
connections, and change. It seemed to be music about life, but grounded on the
fundamental fact of death, and it felt to me suddenly very profound, far beyond the details of
Bach’s notes on paper, or the violinist’s performance somewhere in a studio, months or years
before I came upon his recording. It carried with it centuries, at least, of commonly felt
experience, enacting simultaneously the fundamental duality of our emotions, despair and
joy, sinking down and clambering up, confronting death and looking back into life, for
pleasure, diversion, and purpose.
----------------
----------------
----------------
WHEN I was young, and first discovering music, I was enamored of the myths and fairy tales that were often told about the great composers: that Mozart composed the Requiem to
encode for the world the anguish of his own demise that Rossini was so lazy and so
prodigiously talented that he preferred to write a new overture than roll over in bed and pick
up one that had fallen on the floor; that Haydn wrote the great crashing fortissimos in his
“Surprise” symphony to wake up the dreary, sleeping philistines in his audience. They made
the music seem more dramatic, and connected my experience of it to a larger sense of
history. When I learned to play the piano as a boy, these stories compensated for the tedium
of practice. As a teenager, in retreat from the rages of my mother, who was deeply unhappy
for reasons I then found incomprehensible, there fables made music seem even more
profound. I would pass them on to my friends in vain, breathless attempts to share my
enthusiasm for sounds they found old-fashioned and boring. But as an adult, I became
allergic to them, not just because many of them were wholly fabricated, but because even
those that were true didn’t offer any greater access to the music, and only underscored the
emotions I already felt. They felt like tautologies: the music is sad because Bach was sad.
And yet it is almost impossible to maintain a cautious, intellectually scrupulous relation to the music we love, especially when we are emotionally vulnerable to it. We want it to tell stories, to speak to life beyond its purely aural realm. Music that merely pleases us may be examined with detachment, but when music possesses us in some deep, over bearing way, it is difficult to submit to scholarly scruple. It must have cosmic importance, and transcend the hermetic and abstract codes of sound. For me, on those drives through New Mexico, Bach’s music was absolutely about a dialogue between death and life, an intertwining of the two basic impulses that govern our lives from beginning to end. Even if Bach never conceived of his Chaconne in those terms, he was working within a tradition that delivers to us the possibility of that interpretation. And I chose to hear it that way, and succumbed to the music absolutely needed articles of faith, the Chaconne helped articulate them.
Much of what I was thinking at the time seems banal now. I remember taking some solace from this thought: that the price of admission to life is the acceptance of death. No one lives without dying, and there are no Faustian codicils to this contract. The ticket admits one, it is nontransferable, and there are no refunds or exchanges. For a moment, standing on a rock overlooking the side, arid plains of New Mexico, I tried to think what it would mean not to have that ticket, not to have been born, not to exist. It was unthinkable. Not only is the ticket premised on death at the end, we also have no choice but to accept it, use it, submit to its limitations.
This was consoling, for a while. It suggested the commonality of our experience of death, as if the meaning of life is to realize that we belong to a fraternity united by one thing only, the fact of out death, and this should make us kinder to one another. Certainly, in the months prior I had noticed in myself a new sense of empathy and curiosity about other people who were experiencing death, especially the death of a parent. At parties, in casual conversation, thrown next to a stranger on an airplane, if someone mentioned the death of a parent, I was deeply interested. I asked questions and found myself having genuinely meaningful conversations even with acquaintances whom I didn’t like very much. The shared experiences of losing our parents casts all of us back into the unresolved residue of childhood, making us children again in some fundamental way. At a time in life when you think you have experienced everything, suddenly there is this one enormous, unsettling thing that is astonishingly new. It is no surprise that almost everyone who has experienced it wants to talk about it, and that the fundamental theme of these conversation about grief is, “I had no idea.”
About halfway through the Chaconne, Bach shifts from the minor to the major key, and echoes in a softer way the opening of the movement. The listener is immensely grateful for the simplicity of the first eight bas of this major-key episode, an episode of calm after a long period of virtuoso display, rapid figuration, and widely spaced chords that encompass the violins’ tonal range, from growling bottom to the piercing top. But no sooner has the composer allowed us to pause, to consider ideas of tenderness and simplicity, than the animated discourse of musical variations begins again. Mercifully, Bach starts slowly, with stepwise motions, deliberate at first and at a walking pace, moving up then down, almost as if the line is taking stock of itself, checking to be sure that all the essentials are in place. It reminds me of people who feel a powerful sense of duty, who are checking on something they know well, the safety of a home of the care of a family, making sure that everything is in order, everything safe. The simplicity of the line is a reassurance to the listener, a reiteration of the musical essentials, before it again gains speed and complexity and moves on to greater degrees of complexity and elaboration.
If you can believe, as I did at the time, that this passage is essentially maternal, imbued with kindness and care, then what comes next is heartbreaking. In the following variations, Bach begins repeating two notes, A and D, the lower and upper bookends of the first chord of the Chaconne and the essential notes of the key in which it is written. At first these repetitions seem almost accidental, as if they are merely filling in holes in one of Bach’s musical patterns. But their reiteration, their gathering force, and finally their emphatic power dispel any sense of accident. Throughout the completion of the basic arch-like from of Bach’s Chaconne—in which the music moves from the minor key to the major and back to the minor again—the note A is known as the dominant, the harmonic area of greatest tension, always leading back to D, where the piece begins and ends. The reiteration of A build tension, insistence, energy, making the ear crave the resolution of D. It feels a bit like thirst, an ever-accumulating craving for the resolution of the tonic key.
Throughout this passage, Bach is shifting the harmonic drama, which for most of the piece is contained in the recurring pattern of the bass line, into the upper reaches of the violin’s range. If the music gives us the illusion of multiple voices, it is now the top voices, the ones primarily charged with variation, diversity, and melodic elaboration, that emphatically insist on the fundamental harmonic facts. The distinction—admittedly a very subjective one on my part—between a grounding of the music in the insistence on mortality, and an elaboration of life above, breaks down. And it breaks down in the major key, in the section that at first seemed so maternal and consoling.
I was tempted to think that Bach was complicating the usual maternal attributes of care and kindness. The mother’s voice was now speaking about death, echoing the music’s fundamental insistence—delivered through the bass line—on a relentless march of life to its terminus. The feminine voice had grabbled hold of the fact of death, held it up in new light, stripped away some of the accumulated anxiety that gathered around it during its ceaseless repetitions in the bass line. The voice that had seemed to chatter so brilliantly before was now grounded, now speaking with a deeper, discomfiting wisdom. For children, the discovery of death is shocking, perhaps in the form of a schoolmate’s accident, or a grandparents’ deaths we rediscover it as unavoidable and universal. Ideally, they help us learn to die, sometimes explicitly, giving us insight, consoling us for their death, so that ours will be easier when it comes.
But that wasn’t my mother. Death brought her no wisdom, life brought her little joy, and when she died it was in anguish, without resolution of any sense of peace. Hers should have been what was once called a “good death,” after a long life, filled with children and grandchildren, and surrounded by family. My mother had the best treatment that medicine could provide, and when it could provide no more, she had the kindest and most professional care from nurses who knew how to relieve pain and ten to a failing body. My mother died at home, with all her children fully launched in life, secure and perhaps successful. Not one of her children or grandchildren preceded her in death; not one of them deviated from the usual trajectory of middle-class life. There were no broken homes or abandoned children, no children, no chronic gamblers or heroin addicts. We were by no means a perfect family, but if any ordinary person had come in to assess the fullness of my mother’s life, he would have found the balance sheet laden with things that ordinarily make people happy, and mostly devoid of the usual causes of sadness.
But she was unhappy and died that way, unfulfilled and angry about what she sensed was a wasted life. She had wanted to be a violinist, and when I was young she use to play along with my piano, but over time, she gave up on the instrument, just one of many things and abandoned, until late in life even the mention of the instrument would make her grimace with disgust. She also dreamed of being a dancer, but she said it want’s the decent thing for a girl to show her legs in the 1940s, so nothing came of that. Later she hoped to be a doctor, but her father refused her bus fare to the West Coast, where, she said, she had a scholarship to a good college. A few years after my mother died, when my once-reticent father was surprising all his children by speaking easily and candidly about a past we had assumed was closed for discussion, I asked him about the scholarship story, which I had always doubted. He said yes, it was true, and that my grandfather had indeed crushed his daughter’s dream, and though I never met my maternal grandfather and he was, for me, mainly a figure of myth constructed by my mother, I felt a flash of hatred for him, as if he had entered the room uninvited. After that, my mother’s life was given over to marriage, raising a family, and being a woman in the 1950s and 1960s didn’t help. By the time she was in her forties and had the freedom to do exactly as she pleased, she was embittered, and spent much of her time resentfully cleaning a house that was never dirty. She loved her children, but fretfully and it seemed without pleasure. She was seventy-four when she died, still waiting for the world to sort itself out, to remove its impediments to her happiness.
In the last few days before her death, the futility of this wait struck her with its full, terrifying force. She had always been an atheist, and sometimes stridently so. Now, when we were alone, she asked if I believed in God, if I thought there was anything that came after death. I was horrified by these questions, in part because they struck at my most unresolved thoughts, and also because I didn’t know whether to lie and say the consoling thing, or speak a truth that is unnerving even to a healthy person with no intimation of death on the horizon. So I said I didn’t know, that nobody knows, nobody has ever known, despite all the certainty of religion, and atheism. I said that the only thing in which I had confidence was that death brings an end to suffering, and a cessation of all things, including regret, worry, and fear. My mother died the day after that conversation.


Translation - Korean
아름다움은 단지 공포의 시작에 불과하기 때문에, 그걸 그저 간신히 견딜 수 있을 뿐이면서, 그것이 우리의 전멸을 냉정하게 조소하는 데 경악한다.—
라이너 마리아 릴케, “두이노의 비가,”
스티븐 미첼의 번역

대위법 : 바하와 비탄에 관한 회상록
필립 케니코트

하나 (첫 장)
어머니가 암으로 돌아사시기 전 그 치료 화학 요법 도중 돌아가실 거라는 것이 여름을 지나면서 분명해졌다. 응급실에 자주 왕래하시게 됐고, 몸이 쇠약하셨는데, 병에 대한 최종이자 최상책인 약물 요법이 끝나려면 아직 몇 달이 남아있었다. 화나고 지쳐서, 거의 절망 상태에서 어머니는 이제는 약물을 포기하고 임종을 준비할 때라는 의사와 가족의 제안에 결국 동의했다. 그렇지만 우선은 그녀에게 삶이 다시 허락됐다: 몇 주 내로, 몸에서 약 기운이 빠져나가자 그녀는 다시 살아났다. 침대에 누워만 지낸 몇 달 후, 보행기를 쓰기 시작하고, 임종 간호사도 돌려 보낼 정도로 좋아졌다. 아침에 일어나서 커다란 창가에서 그녀 집 밖 언덕들을 내다보며, 자신이 마련해 놓은 여러 모이통에 새들이 오기를 기다리곤 했다. 가을 초에는 아리조나로, 아버지와 은퇴 후 따스한 데서 친구들과 겨울을 나곤 하던 곳으로 마지막 여행을 떠났다.
추수감사절 전 주에 전화가 왔다. 암이 재발해서, 이제는 집에 오셔서 임종을 맞을 때인 것이었다. 어머니는 마지막으로 보러 온다고 휴가를 낭비하지 말고 제발 그냥 있으라고 애원했다. “나 이런 꼴 보이기 싫다.” 그녀는 의무적으로 자기 부정하는 생각이 있었지만, 진심이기 보다는 그렇게 보이기 위해서였고, 그래서 나는 지난 삼년 전 그녀가 아프기 시작했을 때부터 늘 그랬던 것처럼 무시해 버렸다. 인터넷에서 표를 구해서, 돌아 오는 날짜 변경할 수 있는 옵션 포함해서 지불했다. 온라인 여행 사이트 옆면에, 터키옥색 물에 담긴 아름답고 근심없는 수영복 차림의 사람들 모습이 들어있는 카리브 해 베이케이션 크루즈 광고가 오르락 내리락 거렸다.
짐을 싸면서, 이 셔츠들을 다시 옷장에 넣을 때 쯤 어머니는 돌아가셨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는데, 이 낯설은 생각으로 인해 내가 하는 모든 사소한 일들이 비극적 종말성을 띠게 됐다. 이 스웨터 가져 갈까, 전에 엄마가 좋아한다고 하셨는데. 마지막으로 보시겠구나. 얼마나 오래가 될지, 며칠, 몇 주가 될지 모르겠지만, 어쨌든, 내가 집에 돌아왔을 때는 내 생에 새로운 바꿀 수 없는 사실이 확립되어 있을 것인데, 내 오랜 일생 동안 존재해 왔던 연줄이 단절된 것이다. 내가 개키고 있는 옷에는 그리 유념하지 않았지만, 꼭 가져 가야 할 두 가지가 있다는 것을 알았다: 하이킹 부츠하고, 그녀가 죽어가는 그 커다란 텅 빈 집에서 내 동무로 내 정신 줄 놓치지 않게 해 줄 음악.
그리 대단한 의식적 생각 없이, 나는 바하의 바이올린 솔로 소나타와 파르티타 음반을 여행 가방에 넣었다. 이 음악을 선택한 특별한 이유는 없었지만, 이 까다롭고 복잡한 작품을 일찌기 녹음한 이 젊은 나이의 바이올리니스트에게 좀 관심이 있었달까. 아마 이 음반 표지에, 바이올린의 낯익은, 여성적 곡선 위에 기도하는 듯 깍지 낀 손을 한 감정 충만한 사내의 흑백 사진에 끌렸던 것일게다. 또한 그 작품들을 제대로 들어본지 오래 되서, 기억이 애착은 가지만, 어슴프레한, 어쩐지 아직도 잘 알지 못하는 유명 작품을 기꺼이 가져왔을 것이다. 오랫 동안 들어 온 음악은 기억과 연상으로 두꺼워져 있다. 이번 여행에는 짐을 가볍게 싸는 것이 필요했다.
실제 무게를 따지면 바하는 역시 좋은 여행 음악이다. 한 두 개 CD면 가치가 덜한 몇시간의 다른 음악보다 더 마음을 채우고, 다른 여느 음악처럼 여백 채우기나 군더더기 없이 감정적으로 효과적이다. 나로선 설명할 수 없는 어떤 이유로, 바하는 내가 어디에 있던지, 어떤 삶의 방식에 처해 있던지, 일이던, 오락이던, 잘 나가던, 입에 풀칠하던, 나태함에 빠져있던, 내 모든 마음 상태에 맞는다. 그의 음악은 나를11월말의 회색 사막 경치에서 생존케 하는 만큼이나 바닷가에서 즐겁게 한다. 거기있는 동안, 왜 베에토벤, 브라암스, 와그너를 듣고 싶지 않은지 수 백가지 이유를 댈 수 있지만, 왜 바하를 거절해야 하는지 단 한 가지 이유도 생각 해 낼 수 없었다.
내가 도착했을 때 부모님 집은 조용했고, 모두들 발굼치 들고 걸으면서 속삭이듯 얘기했다. 소음이라고는 어머니 방에서 나는 텔레비젼 소리, 항상 켜 있어서, 밤새도록 깜박거리는 불빛이 엄마의 몽롱했다가 명료했다가 하는 의식에 분명히 의지가 되었다. 엄마가 깨어있을 때는 내가 옆에 앉아있었지만, 대개 몰핀에 취해 계셨다. 엄마 옆에서는 어떤 통증의 기미를, 혹은 임종 임박의 푯말을 놓칠까봐 절대 음악을 듣지 않았다. 텔레비젼 소리를 뒷전으로 하고, 그녀의 숨소리에 귀를 기울였다.—“그르렁거리는숨소리” 라고, 말기 환자 담당 간호사가 명쾌하게, 마치 숲 속을 산보하며 진귀한 꽃을 가리키듯이 말했다. 어머니 머리 뒤 쪽 벽에 비쳐진, 야간 뉴스의 광기, 생기 있는 일기 예보 담당자, 살인, 교통, 시가 행진을 휩쓸어 농담으로 토해내는 예쁜 앵커 우먼이 푸른 형태와 추상의 춤으로 증류되었다. 단지 몇 피트 거리에 놓인 이 커다란 플랫 스크린을 쳐다볼 때, 세상으로의 포탈이 무한하게 멀고 무의미하게 느껴지면서, 현실로 부터 떨어져나가는 듯 느끼기 시작했다.
마지막 며칠 동안, 엄마가 두려운 명료 상태에서 혼돈으로 그리고 결국 침묵으로 미끄러져 가면서, 바하만이 오직 들을 수 있는, 하찮거나, 진부한 듯, 삶에 무관한 듯 하지 않은 유일한 음악이었다. 그 어떤 신기한 공간 같은 것이었는데, 잡담과 소음의 세계에서 떨어진 내적인, 내 엄마에 대한 격한 감정에서 나를 분리하고, 우리가 소위 “현실” 세계라고 부르는 것에 정신 산만해짐 없이 그녀의 임종의 진전을 지켜 볼 수 있는 공간이었다. 평범한 일들에 거리를 두면서, 심오한 일들을 느낄 수 있는 가까이에 가져오지만 단, 끔찍한 어두움에 빨려 들어가지 않게 하면서였다.
어머니 곁에 있지 않고, 집안에서 이것 저것 도울 때, 나는 라 단조 파르티타를 들었다. 이 다섯 파트로 된 작품의 마지막 악장, 그 훌륭한 샤콘느는 다른 네 악장을 합한 길이인데, 그 25분 동안 내 자신을 완전히 잃어버리는 미로였다. 반복하고, 또 반복하며, 거기 사로잡혀, 네 다섯 번 계속해서 듣고, 억지로 포기해야 할 때까지 반복 단추를 어떤 때는 그냥 눌러댔다. 부모님 집 근처 야산에서 걸을 때 헤드폰으로, 잠을 청하면서 침대에서 들었다. 조제약이나 소다 음료수를, 엄마가 마시기 쉽게 그릇에 부어 김이 다 빠질 때까지 휘저어서 드리곤 했는데, 그걸 가질러 시내에 운전하고 나갈 때 동행했다. 차 안에서 샤콘느를 들으면, 어쩐 일인지 다성음악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었다. 눈이 길에 집중하면서, 뇌의 다른 부분들이 두꺼운 전체 화성 조직에서 개별적 선율을 골라 내어 더 깊이 듣는데 의식이 전념할 수 있게 바쁘게 활동했다. 그리고 마치 누가 11월의 회청색 하늘을 배경으로 한 이파리 없는 유령 미루나무 있는 암갈색의 건조한 풍경으로 부터 주유소, 버리토 파는 곳, 선물 가게 등을 포샵한 것처럼, 그 음악이 물리적 세상의 여과기가 되었다.
한번은, 앨버커어키로 가는 고속도로에서 운전하다가, 교통 체증의 소란에 음악의 유아 독존 지경에서 화들짝 깨어 난 적이 있었다. 브레이크를 후딱 밟고 차 사운드 시스템 단추를 꽉 눌렀는데, 바하를 끄는 대신, 그만 마리아치 음악 방송을 틀게 되었다. 아드레날린이 가라앉은 후 나는 웃음을 터트렸다. 앨버커어키는 1706년에 확립되었다, 바하가 라 단조 파르티타 쓰기 한 세기 전이다. 이 두 가지 사이에는 머나마 연관이 있다. 샤콘느가 초기 춤 형식인 샤코나, 아마 라틴 아메리카에서, 추측에 의하면, [춤 출 때] 쓰이는 카스타네츠에서 왔거나, 아니면, 처음 발견 된 지명에서로 부터 유래한 듯하다. 삼세기 쯤 뒤의 탱고처럼, 샤코나는 저속, 방탕함과 막힘 없는 육체적 표현으로 인해 하층 계급에 연관이 있다.
바하가 샤콘느를 쓸 즈음에는 , 이 춤은 완벽하게 도입되어, 음악 형식이자 리듬 패턴이나
스타일을 뜻하는 것이었다. 샤콘느는, 바하 시대에는, 반복되는 베이스 라인은 작곡가의 변주곡의 베틀, 아래 성부의 때로는 묵중한 고정 관념 (id́ée fixe) 주제 위에 기교적인 정교한 쌓아 올림이 어우러짐을 뜻했다. 바하의 거대하고, 복잡하고 추상적인 샤콘느에도 아직 옛 샤코나의 메아리가—삼 박자 리듬 패턴, 길고 짧은 음부의 뚜렷한 맺음—시작하는 마디에서 들린다. 곡 전체에 노골적으로 지속시키는 건 아니지만, 뚜렷이 명백하게 전 곡을 쌓아 올릴 베이스 라인에 발표한다. 모든 바이올린 연주자들, 특히 20세기 초반부터 중반 까지 극적인 화려함을 과시하는 바이올리니스트들은 이 퇴화된 흔적, 춤의 특징을 강조하지는 않는다. 그렇지만, 훌륭한 연주들은 , 가장 뛰어난 것들을 포함하여, 깊이 배어있고, 무의식적으로도 심장의 박동처럼 느껴지는 춤의 리듬의 기억이 활기를 돋군다.
바하를 지나치게 혹은 오히려 섣불리 해석하는 것은 쉬운 일이다. 18세기 청중에게는 그리 중요치 않았을 일들을 확대해서 애지중지하면서, 바하가 필수적으로 고려했을 점들은 경시함으로써 우리는 항상 틀린 판단을 하는 것 같다. 나는, 대개의 비평가들 같이, 예술과 예술가의 감정적 삶의 연관성에 대한, 특히 뛰어나게 다산적인 바하 처럼, 그의 일생 동안 매일, 매주, 변화 무쌍한 감정의 음악을 본인 자신의 기쁨이나 고통에 상관없이 지금 우리가 말하는 개인적 표현의 여지가 없는 이상적 종교적 의무를 수행하며 창조한 음악가들을 지성적으로 비평하는 훈련을 받았다. 그런데도 바하의 샤콘느는 내 감정 세계을 점령하여, 뿌리치기 힘든 은유적 힘을 증식했다.
그 음악은 삶의 두 가지 양상을 제시했다, 그 어떤 근본적인, 불변하는, 끊임없이 반복되는 것, 그리고 그 진실의 기반 위에 다양성, 창작, 스쳐 가는 연결과 변화의 필요였다. 그것이, 삶에 대한 음악이며, 죽음이라는 기본 사실에 토대를 둔 듯 보이면서, 그로 인해 바하의 악보 상의 자세한 내용이나, 음반으로 듣기 몇 달, 몇 년 전 행해 진, 어떤 스튜디오 안에서의 바이올리니스트의 연주를 넘어서, 내게 갑자기 퍽 심오하게 느껴졌다. 보편적 감정의 경험인 절망과 기쁨, 가라앉음과 떠오름, 죽음을 맞닥뜨림과 돌이켜서 쾌락, 기분전환, 목적을 찿아 삶을 직시하는 우리 감정의 원천적 이중성을 동시 구현하여, 적어도 몇 세기 동안 지녀 온 것이다.

내가 어려서 처음 음악에 관심을 가졌을 때는, 위대한 작곡가들에 대해 종종 이야기하는 신화와 동화에 매료되었었다: 모짜르트가 자신의 소멸의 고통을 세상에 알리는 암호로 레퀴엠을 작곡했다거나, 로시니는 게으름과 재능이 둘 다 뛰어나서, 침대에서 몸을 굴려 마루에 떨어진 악보를 줍는 대신, 차라리 새로운 서곡을 쓰는 걸 택했다던가, 하이든이 청중석의 지루한, 자고있는 속물들을 깨우기 위해, 와지끈 부서뜨리는 포르테시모들을 그의 “놀람” 교향곡에 썼다던가 하는 것이다. 그런 것들은 음악을 더 극적으로 느끼게 하여, 내 경험을 거대한 역사에 연결하여 주었다. 소년 시절, 피아노를 배울 때, 이런 이야기들이 지루한 연습을 보충해 주었다. 사춘기 때, 나로써는 도무지 알 수 없는 이유로 인해 심기가 불편한 엄마의 분노로 부터 피신할 때, 이러한 우화들은 더욱 깊이 있게 느껴졌다. 내 친구들한테 헛되나마 신나서 전달했는데, 걔네들이 고리타분하고 지루하다고 느끼는 음악에 대한 나의 열정을 나누려는 시도였다. 그런데, 성인으로선, 그런 것들에 두드러기가 돋는다, 단지 송두리째 조작된 게 많다는 이유도 있지만, 사실인 것들도 음악을 접하는데 그리 더 큰 도움이 되지 않고, 그저 내가 이미 느낀 감정만 강조할 뿐이다. 동어 반복으로 느껴졌다: 바하가 슬퍼서 그 음악도 슬프다.
그렇지만, 우리가 사랑하는 음악에 대해, 특히 감정적으로 휘둘리는 위치에서는 조심스럽고, 지적인 치밀한 분석을 유지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우리는 음악이 단지 순수한 음향의 세계를 벗어나 삶 속의 이야기를 들려 주기를 원한다. 단지 우리를 즐겁게 하는 음악은 , 냉철하게 분석할 수 있지만, 우리를 음악이 그 어떤 심오한 불가항력으로 사로잡을 때에는 학문적 분석에 복종하기가 힘들다. 고립된 음향적 법칙을 넘어선 광대무변한 중요성을 가진 것이 틀림없다. 내게는, 뉴멕시코를 운전하며 지나는 동안, 바하의 음악은 삶과 죽음의 대화에 관해 더 말할 나위없이, 우리의 삶을 시작부터 끝까지 지배하는 두 기본 충동의 서로 얽힘이었다. 바하가 그의 샤콘느를 이런 조건으로 창작하지는 않았지만 이런 해석의 가능성을 제공하는 전통 하에서 였다. 그러므로 나는 그렇게 듣기로 했고, 음악에 사춘기 때 이후로 처음, 절대적으로 매료되었다. 필사적으로 믿음의 표적을 필요로 할때 샤콘느가 그것을 구현해 주었다.
내 대부분의 생각이 지금은 진부하게 느껴진다, 위로를 얻었던 것으로 기억되는 생각은: 삶에의 입장권의 값은 죽음의 수락이다. 그 누구도 죽지 않고 살 수 없으며, 이 계약에는 파우스트의 예외 조건은 없다. 입장권은 한 명 당, 양도, 반환, 교환 불가이다. 잠깐 동안, 뉴 멕시코의 광활하고 건조한 평원이 바라다 보이는 바위에서 이 입장권이 없다는 것, 태어나지 않았고, 존재하지 않았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생각해 보려했다. 생각이 불가능했다. 이 입장권은 죽음의 종결을 전제할 뿐 아니라, 우리가 이것을 받아들이고 사용함으로써 그 한정성 또한 수락할 수 밖에 없다.
이것은 위로가 되었다, 잠시 나마. 우리가 죽음이라는 사실, 단 한 가지로 연합된 단체에 속하고, 그러므로 서로에게 친절해야 한다는 것을 깨닫는 것이 마치 삶의 의미인 듯한, 죽음에 대한 우리 경험의 보편성을 뜻했다. 지난 몇달 간 죽음을 겪는, 특히 부모의 초상을 당한 다른 사람들에 대한 새로운 관심과 동감을 나 자신에게서 분명히 느꼈다. 파티에서 사사로운 대화나, 비행기 안에서 우연히 만난 여행자나, 누구던 부모의 서거를 언급하면, 나는 깊이 끌려들어갔다. 질문을 하며 별로 좋아하지 않던 지인하고라도 진정으로 뜻깊은 대화를 하는 자신을 발견했다. 부모를 잃었다는 공통 경험이 우리 모두를 해결되지 않은 어린 시절의 잔해, 근본적으로 어쩌면 다시 어린이로 돌아가게 만들었다. 삶에서 모든 걸 경험했다고 생각할 때 쯤, 깜짝 놀라게 새로운 이 엄청나고 무시무시한 한 일이 갑자기 생긴다. 거의 경험한 모든 사람이 얘기하기 원하고, 이 비통함에 관한 대화의 기본 주제는, “이럴 줄 꿈에도 몰랐다,” 이다.
샤콘느 중반 쯤에서, 바하는 단조에서 장조로 바꾸면서, 곡의 시작 부분을 보다 가볍게 상기시킨다. 바이올린 음역 전체에 널린 화성이 으르렁거리는 저음에서 찌르는 고음에 걸친 빠른 음표들로 과시되는 오랜 기교적 연주를 지나, 가라앉은 이 장조의 간단한 처음 여덟 마디 곡조는 듣는 사람에게 대단히 흡족하다. 그렇지만, 부드러움과 간단함으로 잠깐 숨을 돌리나 했더니, 활발한 담화로 이루어진 변주가 다시 재개된다. 다행히, 바하는 천천히 단계적으로 처음에는 신중하게, 그 다음은 보행 속도, 올라갔다 내려갔다가, 마치 곡조 자체가 모든 필수 요건을 자진 점검, 확인하는 듯. 자신이 잘 아는 자택 안전이나 가족 보호에 있어 모든 것이 정돈되어 있고 안전함을 확인하는 책임감 강한 사람을 내게 상기시킨다. 기초적 음율을 반복함으로서 선율의 간단 명료함은 듣는 사람을 안심시킨다, 다시 속도와 내용을 더하여 보다 화려하고 기교적인 부분으로 넘어가기 전까지.

당신은, 내가 그랬듯이, 여기가 기본적으로 친절하고 자상함으로 넘치는 모성적인
부분이라고 믿을 것이다, 그런데, 그 다음 부분이 가슴을 아프게한다. 다음 변주에서, 바하는 두 음표 A와 D를 반복한다, 샤콘느 첫 화음의 최저와 최고 외성음이며 이 곡의 조성의 기본음이다. 맨 처음에는 이 반복이 거의 우연처럼 보인다, 마치 바하의 음악 패턴의 구멍을 단지 메꾸는 듯. 그렇지만, 그 반복에 힘이 가해져서, 마침내 우연성이 일소된다. 기본적 아치 모양 형식의 바하 샤콘느 전체를 통해—음악이 단조에서 장조로 그 다음 다시 단조로 돌아가는데—음표A는 도미난트로, 화성적 긴장의 절정으로, 곡이 시작하고 끝나는D로 언제나 회귀한다. A의 반복은 긴장, 주장, 에너지를 구축하고, 해결인 D로 가는 것을 우리 귀가 원하게 된다. 그것은 어쩌면 갈증과 같다, 주음으로의 해결을 원하여 계속 쌓이는 욕구.
이 부분 전체에서 바하는 화성적 드라마를 바꾸는데, 곡 전반에서 베이스에 주어졌던 반복되는 패턴을 바이올린의 높은 음역으로 옮긴다. 우리에게 다성의 착각을 준다면 그것은 주로 변주, 다양성, 선율 장식을 맡았던 높은 성부들이 인제는 근본적 화성을 밝히고 강화하는 데 쓰인다는 것이다. 그 구별—내가 보기에도 주관적인 것이지만—죽음을 면치 못할 중생의 운명을 다루던 베이스 성부와 그 위에서 펼치던 삶에 대한 것이 무너진다. 그것은 처음 모성적이고 위로를 주던, 장조 부분에서 이루어진다.
나는 바하가 전형적 모성의 상징인 자애와 친절을 심화하는 것으로 생각할 뻔했다. 모성의 음성은 인제 죽음에 대해 말하는데, 이 음악의 근본 주제 –베이스에서 들었던-- 삶의 종말을 향한 줄기찬 행진을 반향하는 것이다. 여성적 음성으로 죽음의 사실을 담당함으로써, 새 불빛에 비추어 그로부터, 베이스에서 끊임없이 반복되었을 때 누적된 걱정을 좀 떨쳐 버린다. 전에 그렇게 발랄하게 떠드는 듯 했던 목소리가 묵직하게 깊어져 이제는 불편하게 지혜를 다룬다. 어린아이들에게 죽음의 발견은 아마 학급 동료의 사고나, 할아버지 할머니께서 어떤 예정된 휴일에 나타나지 않으셨다거나 하는 충격적인 것이다. 그렇지만, 부모의 사망을 통해 우리는 그것이 피할 수 없는 보편적인 것임을 새삼 깨닫는다. 이상적으로, 그들은 우리가 죽는 것을 배우도록 돕는데, 때로는 뚜렷이, 통찰력을 선사하고 그들의 사망에 대해 우리를 위로하여 우리의 때가 닥쳤을 때 보다 수월할 것이다.
허나, 우리 어머니는 그렇지 않았다. 죽음이 그녀에게 지혜를 가져다 주지 않았고, 삶은 그리 즐겁지 않았으며 임종은 해결이나 그 어떤 평안도 없이 격통 속에 이루어졌다. 그녀는 자손과 손자들, 그리고 가족들에 둘러싸여, 대개 장수한 후 “잘 돌아가셨다”고 할 만한, 임종을 맞았다. 어머니에게 의술적으로 가장 최선의 치료가 주어졌고, 그것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을 때, 수명이 다해가는 신체의 고통을 해소하고 돌볼 줄 아는 가장 친절하고 전문적인 간호사들이 마련됐다. 어머니는 다들 자립하여 안정되고 출세했다고 할 자손들 참관하에 집에서 돌아가셨다. 자손이나 손자들 중 누구도 먼저 단명하지 않았고 아무도 전형적 중산층 삶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파괴된 가정 없고, 버려진 자녀 없으며, 만성 도박자나, 헤로인 중독자도 없다. 결코 우리가 완벽한 가족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누구던 내 어머니의 삶의 결산 대차 대조표를 평가한다면, 대개 평범한 사람들을 기쁘게 하는 일들이 수두룩하고 슬픔의 원인이 되는 일들이 거의 없다는 것을 알 것이다.
그런데, 어머니는 행복하지 않았고, 본인이 자각하기에 낭비된 삶에 대해 못마땅하고 분노하면서 그렇게 돌아가셨다. 그녀는 바이올리니스트기를 원해서, 어릴 때 내가 피아노를 치면 따라서 같이 했는데, 새월이 흐르며, 그 악기를 포기했고, 그녀가 포기한 많은 것들 중 하나로ㅡ 말년에는 그 악기 말만 들어도 역겨워 얼굴을 찌푸렸다. 그녀는 또 무용가의 꿈을 꿨는데, 말씀하시기를, 1940년대에 여자가 다리를 보이는 건 고상하지 못한 일이었다고 하니, 그건 그렇게 끝난 것이다. 그 후 의사가 되기를 소망했는데, 그녀의 말에 의하면 장학금을 준다는 좋은 대학이 있는 서부 해안으로 가는 버스 차비를 할아버지가 거절했다. 어머니가 돌아 가신지 몇년 후, 별로 말없는 우리 아버지가 토론 여지가 없는 줄 알았던 과거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얘기함으로 자식들 모두를 놀라게 했을 때, 내가 아버지한테 장학금 얘기를, 늘 믿지 못했었지만, 물었다. 아버지는, 그렇다고, 실제로 우리 할아버지가 자식의 꿈을 짓밟았다고 말했고, 이 외가쪽 할아버지가 나한테는 만난 적도 없는, 단지 어머니가 만든 이야기 속 상상의 인물이었지만, 마치 불쑥 들어닥친 불청객처럼 그에 대해 미움의 불꽃이 솟는 것을 느꼈다. 그 후로, 어머니의 삶은 결혼하여, 가정을 갖고, 1950년대, 60년대에 여자 노릇하는 것이 나을 리 없었다. 40대에 이르러, 무엇이든 원하는 대로 고대로 할 수있는 자유가 있었을 때는 그녀는 화난 채로 , 더러운 적이 없는 집을 , 미운 듯이 쓸고 닦는데 소일했다. 자식들을 사랑했지만, 즐거이가 아니라 성화를 부리면서였다. 74세에 돌아가셨는데, 아직도 세상이 그녀의 행복에의 장애물을 알아내서 제거해 주기를 기다리고 있었다.
그녀의 임종 전 마지막 며칠 동안, 이 기다림의 부질없음이 완전히 무서운 힘으로 그녀에게 부딪쳐 왔다. 그녀는 항상 무신론자였고, 때로는 그에 대해 단호했었다. 인제 우리가 단둘이 있을 때, 그녀는 내가 신을 믿느냐고, 죽은 후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아냐고 물었다. 나는 이 질문들에 극히 당황했다, 그 이유는 한편으로 이 질문이 내가 가장 고심하고 있는 생각들의 정곡을 찔렀고, 다른 한편으로는 거짓말로 위로하는 말을 해야 할지, 아니면 지평선에 죽음의 위협이 떠오르지 않는 건강한 사람 조차도 심기가 불편하게 만들 진실을 말해야 할지 몰랐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모르고, 아무도 모르며, 모든 종교와 무신론의 확신에도 불구하고 아는 사람은 여태껏 아무도 없었다고 말했다. 내가 단지 확실히 아는 것이 죽음은 고통을 끝내주고 후회, 염려, 공포를 포함한 모든 것을 중지시킨다고 말했다. 내 어머니는 이 대화를 나눈 그 다음 날 돌아가셨다.
English to Korean: A new book honors female resistance during Brazil's 21-year dictatorship
General field: Social Sciences
Detailed field: Government / Politics
Source text - English
Marli witnessed a military policeman killing her brother. Clarice‘s husband was tortured and his death was disguised as a suicide. Damaris was arrested, tortured and forced to watch her partner being murdered in front of their family. Crimeia was a political militant who joined the armed guerrilla forces. These are some of the 15 women who are profiled in a recently published book, “Heroinas desta historia” (Heroines of this History), about their experiences during the 1964 to1985 military dictatorship in Brazil.
The dictatorship, which began with a coup d'état in 1964, led to five military presidents over the course of 21 years, and at least 434 dead and disappeared. The publication is the first of a larger project by the Institute Vladimir Herzog, named after a journalist whose death at the hands of Brazilian army agents in 1975 was disguised as a suicide. His wife, Clarice Herzog, fought for decades against the official version of her husband's death and is one of the ‘heroines’ in this recent publication.
Global Voices interviewed Tatiana Merlino, one of the project's coordinators, via email about women's role in the resistance and why it's important their stories are being told during a Bolsonaro presidency.
Global Voices (GV): What role did women play in the opposition to the 1964 Brazilian dictatorship?

Tatiana Merlino: They took part in spaces of resistance in the cities and in the countryside, in universities and student movements, and in women's clubs in the peripheral areas. They joined leftist organizations, fought among guerrilla groups, and even faced their own comrades who did not believe in their capacity to resist. They participated in the Araguaia guerrilla [one of the main armed movements against the dictatorship], in blue-collar workers strikes such as the ones organized in Contagem (the first major strike under the dictatorship in the state of Minas Gerais) and Osasco (São Paulo). The one in Contagem was the first and it was led by a woman, Conceição Imaculada de Oliveira, from the Metalworkers Union. In the 1970s, still under Institutional Act Number 5 [AI-5, the issuing that suspended rights and gave the regime power to punish those that opposed them], women from peripheral areas had leading roles while marching in the streets against the high cost of living. The women who fought against the dictatorship were arrested and tortured. They were systematically objected to sexual violence. They were raped, some underwent forced miscarriages due to kicks to their stomachs or for being put in the “dragon's chair“, suffering electric shock in their vaginas, bellies, breasts, heads. Some of them even gave birth inside the DOI-Codis [department subordinated to the Army].

GV: How did you choose the women profiled in the book?

TM: We started by researching in archives and books about the victims of the dictatorship: the final report of the National Truth Commission (CNV), in the book ‘Right to Memory and Truth and the Dossier on Political Dead and Disappeared during the Dictatorship on Brazil’ compiled by the Commission of Families of Dead and Disappeared. We read the stories about the 436 dead and disappeared (the Dossier lists 436 and the CNV lists 434) and made a big list with all the cases that had women involved. (I want to highlight the leading part played by the families in the search for memory, truth and justice — especially female relatives). We made a list with over 70 names. There were certainly women in every one of those cases, but our search could only get to those mentioned in the files.
From those 70 names, we had some criteria to get to the 15 women chosen for this book. We also thought it was important to have diversity among those profiled: women that fought against the dictatorship; those who were not political militants, but became activists after the death of relatives; students, intellectuals, working women, indigenous women; and people who had their relatives killed by police violence.
Another criteria was regional diversity, since we were worried about only having women from the Rio de Janeiro-São Paulo axis. We also have stories from other states, which shows the breadth of the violence perpetuated during the civil-military dictatorship.
GV: The book brings together stories of the mothers, wives and sisters of people who were subjected to torture and forced disappearances, calling them “Heroines of this History”. What part did Brazilian history books give them throughout the years?

TM: Brazil has made a transition to democracy and it took the country a very long time to have so-called transitional justice. The work of the National Truth Commission was really important, but it took us decades to create it. So, the onus of searching for evidence about the circumstances around which dead and disappeared person was murdered, who were the killers, witnesses, documents, were all the responsibility of families, especially women, who had a leading role which was not very well documented until now. See, if people are still fighting to clarify the circumstances around the deaths, and if they still don't have justice for the crimes committed, it is even more complicated to make space to talk about their leadership in this fight. That is why this book's approach is new. To this day, these women, with some exceptions, were unknown and treated as someone's wife, sister, etc. It was about time to give them their due place in history — as heroines. That was our intention.

GV: In the book, you write that it is imperative to shed light on these women's lives while the country is governed by President Jair Bolsonaro. Why?

TM: Because we have a president who denies the dictatorship, worships torture and torturers, attacks the dead and the disappeared. Besides the praise of torture and torturers, there is a strong movement of denial and historical revision. This government has also destroyed the politics of memory and truth when it decided to fire the Union's Regional Attorney, Eugênia Augusta Gonzaga, from the presidency of the Commission for the Dead and Disappeared alongside other members, replacing them with dictatorship defenders. The Amnesty Commission [responsible for evaluating compensations due to the violations committed by the regime] was also occupied by deniers and revisionists. What this government cannot destroy, it voids.
The theme of memory and truth is a target of Bolsonaro. This is not news, after all his homages to Ustra [Carlos Alberto Brilhante Ustra was one of the main torturers during the civil-military dictatorship] preceding his presidency. During Dilma Rousseff's impeachment voting process, Bolsonaro's dedication of his vote in Ustra's name should have been enough to send him to prison for accountability. And he shouldn't have been able to run for presidency since those who defend crimes against humanity can't run.
But he did it, he won, and he continues with his onslaught against the theme of dictatorship and the accomplishments that were conquered over the years. This is why it is fundamental to tell these and other stories about this period: to remember it happened, that they killed, tortured and kidnapped, and that hundreds of families and women have dedicated decades to getting truth and justice for the dead and disappeared.
GV: In other South American countries that also went through dictatorships, such as Argentina and Uruguay, women had a leading role in the fight for memory, truth, and justice. How has Brazil's process compared?

TM: In Brazil, the leadership and main roles were also taken up by women who got together, supported each other, created the Brazilian Committee for Amnesty, the Commission of Families of Dead and Disappeared, entered actions at the Inter-American Court of Human Rights, researched morgue files, and exerted pressure to create Bill 9140 [the law recognising those disappeared between 1961 and 1988 due to political reasons, as dead]. They have done and still do a lot, but their fight is not as well known as the Mothers of the Plaza de Mayo [in Argentina], for example, because the countries dealt very differently with the aftermath of the dictatorship period. Here, to this day, we still haven't managed to hold any of the agents involved in the deaths and disappearances criminally accountable. We still have this pendency with the Amnesty Law [which gave equal pardon for political prisoners and government agents involved in the repression]. Even though the Federal Prosecutor's Office has brought dozens of legal actions against agents involved with the regime, the Brazilian Justice system does not accept them with the Amnesty Law as basis. And impunity continues, which reflects the Brazil we live in today.

Translation - Korean
마알리는 군경이 자기 오빠를 죽이는 것을 목격했다. 클라리스의 남편은 고문받고 그의 죽음은 자살로 가장됐다. 다마리스 는 체포되어, 고문 받고 자신의 파트너가 그들의 가족 앞에서 살해당하는 것을 보도록 강요됐다.  크리메이아 는 무장 게릴라에 합류한 정치적 무장군이었다. 최근 출판된 15명쯤 여성의 프로필을 그린 책, "Heroinas desta historia" (이 역사의 여주인공들)은, 1964년에서 1985년 사이  군부 독재 하  브라질에서 겪은 그들의 경험에 관한 것이다.

1964년, 쿠데타로 시작된 독재 정권은 21년을 거쳐 다섯 명의 군부 대통령을 낳고, 최소한 434명이 죽거나 실종됐다. 이 출판은 군부 기관에  의해 1975년 살해되어 자살로 가장된 언론인의 이름을 딴 Institute Vladimir Herzog의, 첫 대규모 프로젝트이다. 그의 아내, 클라리스 허조그는 남편 사망의 공식적 해명을 위해 몇십년간 싸웠고 이 최근 출판물 "여주인공들" 중 하나이다.

글로발 보이시스는 프로젝트 담당자 중 한 사람 타티아나 머얼리노를, 저항운동에서의 여성의 역할과 볼소내로 정권 하에서 왜 그들의 이야기가 중요한지에 대해 이메일로 인터뷰했다.

글로발 보이시스 (GV): 1964년 브라질 독재 정권에 대항하여 여성들은 어떤 역할을 했읍니까?

타티아나 머얼리노:그들은 도시에서 농촌에서 대학가에서 학생회로서 변방지역의 여성 클럽 내의 저항 운동 행사에 참여했읍니다. 좌익 단체에 합류했고, 게릴라 그룹에 속해 싸웠으며, 그들을 저항세력으로서 신임하지 않는 동지들 조차 대응했읍니다. 그들은 Araguaia guerrilla  [독재 정권 대항 주요 무장 세력 중 하나]에, 독재 정권 치하 미나스 제라이스 주에서 일어난 생산직 노동자들의 파업인   Contagem ( 최초 주요 파업 )에, 그 다음은  오사스코 (상 파울로)에 참여했읍니다. 이 최초의 Contagem 파업은, 금속세공인 조합의 여성, Conceição Imaculada de Oliveira가 이끌었읍니다. 1970년대, 아직 Institutional Act Number 5 [AI-5, 권리 보류와 정권 반대자 처벌 시행령] 하에 있을 때, 변방 지역의 여성들이 높은 생활비에 항거하는 행진의 주도 역할이었읍니다. 독재정권에 항거하는 여성들은 체포되어 고문당했읍니다. 체계적 성폭행을 당했읍니다.강간 당하고, 그들 중 몇 사람은 복부 강타나 "마왕 의자", 에 앉혀져, 질, 복부, 가슴, 머리에 받은 전기 충격의 결과로 강제 유산했읍니다. 그 중 몇 사람은  DOI-Codis [군 종속 기관]에서 출산까지 했읍니다.



GV: 이 책에 소개된 여성들을 어떻게 채택했읍니까?

TM:기록보관소와 독재정권치하 희생자들에 대한 책들의 조사연구에서 시작했읍니다: 국가 진실 위원회(CNV) 최종 보고서, 사망 실종자 가족들이 집성한 '기억과 진실에 대한 권리와 브라질 독재 정권 치하 정치적 사망자와 실종자들에 대한 사건 서류'라는 책.
436명의 사망 실종자들에 관한 이야기들을 읽고 (사건 서류는 436, CNV 목록에는 434) 여성이 관련된 모든 사건의 총 목록을 만들었어요. (기억, 진실, 그리고 정의 탐구에 있어 가족들, 특히 여성 친척들이 담당한 주도 역할을 뚜렷이 드러내기 원합니다). 70이 넘는 개인 이름들 명단을 만들었읍니다. 각 사건 마다 여성의 관련이 있었지만, 우리는 기록에 이미 언급된 여성들에게만 집중했어요.

이들 중에 다양성을 견지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고 생각했어요: 독재에 항거한 여성들, 정치적 무장군이 아니었지만, 친척의 죽음으로 운동가로 변신한 사람들, 학생들, 지성인들, 직업 여성들, 원주민 여성들, 그리고 경찰의 폭력에 친척을 잃은 사람들.

또 다른 기준은 지역적 다양성이었어요, 리오 데 자네이로-상 파울로 중심부의 여성들에 국한될 우려에서 나온 것이죠. 다른 주로 부터 온 이야기들이 있어서 이 민간-군부 독재 정권 하에 벌어진 폭력의 파장을 보여줍니다.

GV: 이 책은 강제로 고문받고 실종에 처해진 사람들의 어머니들, 아내들, 누이들의 이야기를 모아서 "이 역사의 여주인공들"이라고 이름지었읍니다. 과거 브라질 역사책을 통해서 볼 때 여태껏 이들에게 주어진 자리매김은 어떤 것인가요?

TM:브라질은 민주주의로 전이했고 이 소위 과도기적 정의에 아주 오랜 세월을 소비했어요. 국가 진실 위원회 (National Truth Commission)의 업적은 아주 중요하지만, 그것을 창건하는데 몇십년이 걸렸어요. 그래서, 사망 실종자들의 살해 상황, 살인자들, 증인들, 서류들을 찿는 막중한 부담은 가족, 특히 여성들의 책임이었고, 그들의 이러한 주도 역할은 오늘에 이르기까지 제대로 기록되어 있지 못했어요. 보세요, 사람들이 아직도 죽음에 관련된 상황을 밝히는 싸움을 하고 있고, 아직도 저질러 진 범죄에 대해 정의가 실현되지 않았다면, 이 투쟁에서 그들의 주도권에 대해 거론할 자리를 마련하는 것은 더욱 더 복잡한 일입니다. 그래서 이책의 시도가 새로운 것이죠. 오늘날까지, 이 여성들은, 몇몇 예외를 제하면, 이름없이 누군가의 아내, 누이 등으로 취급되었어요. 이제는 그들에게 역사상 --여주인공들로, 마땅한 자리를 제공할 때입니다. 그것이 우리의 의도였어요.


클라리스 허조그의 남편, 언론인 블라디미르 허조그는 고문 당하고, 그 죽음은 정부가 자살로 조작했음. | 사진: 카롤리나 빌라베르데 | 허용하에 사용됨.
GV: 이 책에 이나라 볼소내로 대통령의 임기 중 이 여성들의 삶을 조명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써있읍니다. 왜죠?

TM:왜냐하면 이 대통령은 독재를 부인하고, 고문과 고문하는자들을 숭배하고, 사망하고 실종된 사람들을 비난하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고문과 고문하는자들에 대한 칭송 뿐 아니라, 강력한 부인과 역사 개정의 움직임이 있읍니다. 이 정부는 노조 지방 변호사, 유제니아 아구스타 곤자가를 사망 실종자 위원회 의장직에서 다른 임원들과 더불어 해고하고 독재 정권 옹호자들로 대체하기를 결정했을 때 기억과 진실의 정치 또한 파괴했읍니다. The 사면위원회 [정부가 범한 위법행위에 대한 보상 검토의 책임있음] 도 역시 부인하는 수정론자들로 채워졌읍니다. 이 정부는 파괴할 수 없는 것은 무효로 만듭니다.

기억과 진실의 화두는 볼스내로의 공격 대상입니다. 그의 정권에 선행하는  우스트라 [카를로스 알베르토 브릴란테 우스트라 는 민간-군부 독재정권 하의 주요 고문관 중 하나였음]에 대한 그의 찬양은 잘 알려진 바입니다. 딜마 루세프의 탄핵 투표 과정에서,  자신의 표를 우스트라의 이름으로 헌정한 것은 책임회피로 감옥행에 처해질 만한 것이었죠. 그리고 반인도적 범죄를 수호하는 자는 출마할 수 없는 대통령직에 그는 출마해서는 안되는 것이었어요.

그런데 그는 출마했고, 이겼고, 독재 정권의 행적은 오래 전 무너졌다는 화두를 향한 맹공격을 계속합니다. 이것이 바로 이 시대에 관한 이런 사실과 다른 이야기들을 알리는 것이 필사적인 이유죠: 무슨 일이 있었는지 기억하기 위해, 그들이 살해, 고문, 납치했고 그래서 사망 실종된 사람들을 위해 정의를 실현하려고 수백 가족과 여성들이 몇십년을 진실을 찿는 데 바쳤다는 것입니다.

GV: 독재 치하에 있었던 다른 남아메리카 국가들, 아르헨티나와 우루과이에서도 여성들이 기억, 진실, 정의를 위한 투쟁에서 주도역할을 했죠. 브라질에서의 절차는 여기에 어떻게 비교됩니까?

TM:브라질에서도 지도권과 주요역할이 여성들이어서 같이 모이고, 서로 격려하고, 브라질 사면 위원회, 사망실종자 가족위원회를 결성하고, 아메리카 국가 연합 인권 법원에 서류를 제출하고, , 시체 공시소 기록들을 조사하고, 9140 조항 [ 정치적 이유로 1961년에서 1988년 사이 실종된 사람들은 사망으로 인정하는 규정]을 마련하도록 압력을 가했읍니다.
그들은 많은 것을 해냈고 아직도 계속하고 있지만, 그들의 투쟁이 예를 들어 [아르헨티나의], Mothers of the Plaza de Mayo 만큼 잘 알려져있지 않은데, 그것은 나라마다 독재정권 이후 상황을 대처하는 양상이 아주 다르기 때문입니다.
여기 우리는 아직까지도 사망 실종에 가담한 그 어떤 관련 요원에게도 형법적 책임 추궁을 묻지 못한 상태입니다.
아직도 사면법 [정치범과 그들 억압에 관여한 정부 요원 양방에 동등한 사면 제공]이 유지됩니다. 연방 검찰이 정부 관련했던 담당요원들을 상대로 몇십 건의 법적 기소를 제출했지만, 브라질 법무성은 사면법을 근거로 묵살합니다. 이렇게 해서 면책은 계속되고, 그것이 또한 오늘날 우리가 사는 브라질을 반영합니다.
English to Korean: Masculinity in my genes/jeans 청바지(진)에 들어있는 사내다움
General field: Art/Literary
Detailed field: Other
Source text - English
“Be a man!” said the police officer, when he felt my friend wasn’t answering his questions clearly and loudly enough. The officer was asking about a fight he’d heard was going to take place that Friday afternoon near my school. Meanwhile, higher up the road, boys in their school uniforms stood on the sidewalk in silent anticipation, prepared for combat with iron bars, planks of wood, dog chains, bottles from the village shop, and knives. Those were the boys who at 15 and 16 years old were busy “being men”.

Language is a funny thing. Formal education taught us to have a command of Standard English. In Literature and English classes, through correction and the recitation of prose, we were encouraged to be “middle-class, educated, post-colonial men.” But the boys who were versed in the national (“Creole”) language had no time for the ones who spoke Standard English only; they demanded that everyone be a man “of this culture and this soil!”

Switching registers depended on the social situation as much as the person you were speaking to. On one occasion, two police officers lined up a group of boys on the street to search them because they were “acting suspiciously.” They gave instructions for the boys to put their hands on their heads and kneel, as they pointed a gun to their adolescent faces. One of the boys communicated his every action in Standard English to show that he was following orders diligently and respectfully. The response he received was, “Why do you talk like that? You like boys or what?” Standard English—which was meant to distinguish him from the poor, the uneducated, those who were more likely targets of state violence—did not make this young man any safer.

I’ve never sat down and written exactly what it meant for me to be a man. I didn’t know there was the word—“masculinity”—that summed up the arbitrary definitions and meanings of manhood that could switch from person to person, depending on time, and context. The cry summoning us to “be men” assumed there was a DNA of maleness already living in us, sometimes waiting to be activated.

Being a man meant that we were tough, certain, in control and dominant. But masculinity was an idea of manhood that they tried to fit to our bodies like a pair of jeans. These jeans of masculinity were handed out to me over the years. The concept of time, especially the fear of “lost time”, is important to manhood. Culture in a patriarchy drives boys to be men as early as possible.
Translation - Korean
"사내 노릇해!"라고, 내 친구가 또렷하게 큰 소리로 대답을 하지 않으니까 경찰관이 말했다. 경찰관은 그 금요일 오후 나의 학교 근처에서 벌어질거라고 들은 격투에 대해 묻고 있었다. 한편, 그 길 윗 쪽에는 학교 교복을 입은 사내아이들이 철봉, 각목, 개 사슬, 동내 가게의 병들, 그리고 칼을 갖춘 전투 태세로, 묵묵히 대비하며, 도로변에 서 있었다. 15이나 16 또래의 걔네들은 "사내 노릇" 하느라 바쁜 애들이었다.

언어는 웃기는 것이다. 정규 교육은 우리에게 표준 영어를 가르친다. 문학과 영어 시간에, 산문 교정과 암송으로, 우리가 "중류, 교양있는, 탈식민지 남성"이 될 것을 장려했다. 그렇지만, 모국어 (“Creole”)에 능통한 애들은 표준 영어만 쓰는 애들은 상대도 안했다, 그들은 우리 모두가 "이 문화와 이 땅!"의 사내들이기를 요구했다.

말투를 바꾸는 것은 사회적 상황 뿐 아니라 말하는 상대방에게도 달려 있다. 한 번은 두 순경이 길거리에서 몇 명의 소년을 "행동이 수상하다"는 이유로 줄세웠다. 그들을 사춘기 소년들 얼굴에 총을 겨누며 손을 머리 위로 올리고 무릎을 꿀라고 했다. 그 아이들 중 하나가 매번 지시를 존중하며 고분고분 따른다는 것을 보이기 위해 표준 영어로 소통했다. 그로 인해서 그가 받은 반응은, "말투가 왜 그래? 너 사내 애들 좋아하냐?"  표준 영어 --이것은 그를 가난하고, 무식하고, 정부 폭력의 대상인 무리로 부터 소위 구별하는 것이었는데-- 이 젊은이를 더 안전하게 해 주지는 못했다.

나는 남자라는 것이 정확히 무언지 한 번도 자리잡고 앉아 써 본 적 없다.  사람에 따라 다르고, 시간과 상황에 따라 바뀔 수 있는 성인 남자 에 대한 제멋대로의 정의와 의미를 요약한 --"남자다움"--이라는 말이 있는 것을 나는 몰랐다.  우리에게 "남자 되라"고 외치는 명령은 우리 안에 남자 됨됨이 DNA가 이미 생존하고 있고, 때로는 활성 대기 중" 이라는 것을 전제했다.

남자가 된다는 것은  우리가 강하고, 확실하고, 주도권을 쥐고 지배적이라는 것을 뜻했다. 그렇지만 남자다움은 마치 청바지처럼 우리 몸에 끼워 맞추려는 성인 남자에의 한 이상이었다. 이러한 남자다움 청바지들은 세월을 통해 나에게 대를 물려 내려져왔다. 시간의 개념, 특히 "잃어버린 시간"에 대한 공포가 성인 남자에게 중요하다. 가부장 사회의 문화는 사내 아이들이 최대한 빨리 남자가 되도록 몰아친다.
Korean to English: 해와 달이 된 오누이 / The Story of Sun and Moon
General field: Art/Literary
Detailed field: Poetry & Literature
Source text - Korean
아주 먼 옛날, 깊은 산골에 홀어머니가
오누이를 데리고 살고 있었읍니다.
하루는 엄마가 고개 너머 부잣집에
일을 해 주러 가게 되었어요.
가서는, 일을 하고 수수팥떡을 얻어 가지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이었어요.
고개를 막 넘으려고 하는데 고갯마루에
커다란 호랑이가 뜨윽 버티고 있는 게 아니겠어요?
"어흥! 떡 하나 주면 안 잡아먹지!"
엄마는 얼른 떡을 던져 주었어요.
호랑이는 떡을 한입에 꿀꺽 삼키고는
어슬렁 어슬렁 가버렸어요.

엄마는 서둘러 두 번째 고개를 넘어갔어요.
그런데 거기 또 그 놈의 호랑이가 뜨윽 버티고 있는 거예요.
"어흥! 떡 하나 주면 안 잡아먹지!"
"옛다, 얼른 먹고 저리 가거라."

엄마는 서둘러 세 번째 고개를 넘어갔어요.
그런데 거기 또 그 놈의 호랑이가 뜨윽 버티고 있는 거예요.
"어흥! 떡 하나 주면 안 잡아먹지!"
"옛다, 얼른 먹고 저리 가거라."

호랑이는 고개마다 기다리고 있다가
떡을 모두 빼앗아 먹었어요.
그리고 마침내 엄마를 한입에
꿀꺽 삼켜 버리고 말았어요.

호랑이는 엄마 저고리와 치마를 입고,
오누이가 사는 오두막으로 갔어요.
오누이마저 잡아먹으려고 말이예요.
호랑이는 엄마 목소리를 흉내내어 말했어요.
"얘들아, 엄마 왔다. 어서 문 열어아."

오누이가 들어 보니 엄마 목소리가 이상해요.
"우리 엄마 목소리가 아닌걸. 엄마 목소리가 왜 그렇게 거칠어?"
찬 바람을 쐬면서 오다 보니 감기가 걸려서 그렇다."


Translation - English
Long ago, Momma lived with just her children, a boy and girl, in a village deep in the mountains.
One day, she had to go to work for a rich family on the other side of the hill.
Upon finishing her work, Momma carried home rice cakes covered with sorghum and red beans.
As she was about to cross the hills to her home, she was blocked by a huge towering Tiger.
“Ahoong!” he roared. I won’t devour you if you give me a rice cake!”
Momma quickly tossed a rice cake to him.
The Tiger swallowed the rice cake in one gulp and moseyed away.

Momma went over the second hill in a hurry.
But, there he was again, that Tiger towering over her and blocking her way.
“Ahoong!” he roared, “I won’t swallow you if you give me a rice cake.”
“Fine! Here you go, eat it and take a hike!”

Momma went over the third hill in a hurry.
But, there he was again, that killer Tiger towering over her and blocking her way.
“Ahoong!” he roared, “I won’t swallow you if you give me a rice cake.”
“Here you go, eat it and take a hike!”

The Tiger waited for her over every hill
To snatch all of her rice cakes.
And then, alas.
He swallowed Momma in one gulp at last.

The Tiger put on Momma's tunic and her skirt and went to the hut where the boy and girl lived so that he could devour them too!
The Tiger mimicked Momma’s voice saying, “Kids, Momma is home. Open the door.”
The Boy and the Girl thought Momma’s voice was weird.
“That’s not Momma’s voice, why is it so rough?”
“I have a cold due to the cold winds.”
Korean to English: 다락방으로부터 From the Attic by 나 희덕 Nah, Heedoek
General field: Art/Literary
Detailed field: Poetry & Literature
Source text - Korean
1.이 다락방에서 나가면 안 돼
창밖을 내다봐도 안 돼
넌 오직 거울을 통해서만 볼 수 있어
거울이 보여주는 세계,
그 매끄러운 표면 위에서만 아름다워질 수 있지
침묵할 것, 그리고
네게 주어진 실로 태피스트리를 짜라
이 신성한 동굴 속에서 완벽한 여자가 될 때까지
2. 어디선가 노랫소리가 들려왔다
창밖에서인지 내 속에서인지 실처럼 풀려나오는 노랫소리,
창가로 다가가 바깥을 바라보았다
순간 두 눈에서 오래된 비늘이 떨어져내렸다

파열음과 함께
유리창이 깨지고 거울이 깨지고
깨진 거울 조각들은
수백 개의 눈동자가 되어 흩어졌다
들이닥친 회오리바람에
씨실과 날실이 뒤엉켜 온몸을 휘감았다

3. 이제 아무것도 짜지 않아요
베틀 같은 것, 어두운 다락방에 두고 왔어요

4. 물가로 내려갔다
죽음의 잔을 벌컥벌컥 들이켜며
기억의 깊은 웅덩이를 향해 나아가는 동안
입술 사이로 어떤 노랫소리가 흘러나오기 시작했다
처음 들어보는 목소리였다
Translation - English
1.Don’t go out from this attic
You can’t look out the window, either
You can only see through the mirror
The world that mirror shows you,
You can become beautiful only on its sleek surface
Be silent, and
Weave a tapestry with the yarns given to you
Until you become the perfect women in this sacred cave

2. I heard a song from somewhere
A sound of a song like an unspooled thread, whether it’s from outside the window or from inside of me
Went near the window and looked outside
Suddenly old scales fell off from both of my eyes

With a breaking noise
Window glasses were broken mirror was broken
Broken pieces of the mirror
Spread becoming several hundreds of pupils
Imminent whirlwinds
Entangled weft and warp wrapped around my body

3.I am not weaving anything at all
Things like a loom, I left in the dark attic.

4. I went down to the waterside.
Gulping down the glass of death
Going towards the deep pool of memory
A certain song came through my lips
With a voice I never heard

Glossaries General Law
Experience Years of experience: 8. Registered at ProZ.com: Jun 2020.
ProZ.com Certified PRO certificate(s) N/A
Credentials English to Korean (South Korea: Yonsei University)
Korean to English (United States: UT)
Memberships N/A
Software Aegisub, Amara, MemSource Cloud, OmegaT
CV/Resume English (DOCX)
Events and training
Professional practices Mayyul Cho endorses ProZ.com's Professional Guidelines.
Bio

My background  is in music (MM) and library (MSIS), I have expertise in immigration, and integrative medicine and work in the fields of literature, healthcare, education, marketing, and culture. As the Korean staff translator in 2018 and 2019 I handled translation, transcription, and interpretation needs for the Asian Pacific American Dispute Resolution Center and the Korean Community Services in California. I also have translated via Amara/TED since 2012 and interpreted in legal, medical, and social settings since 2011. 

Keywords: Korean, plants, anthroposophy, esoteric science, integrative medicine, biodynamic farming, fiction, memoir, biography, music. See more.Korean, plants, anthroposophy, esoteric science, integrative medicine, biodynamic farming, fiction, memoir, biography, music, immigrants, meditation, psychedelics. See less.


Profile last updated
Aug 27, 2021



More translators and interpreters: Korean to English - English to Korean   More language pairs